본문 바로가기

도서&영화 리뷰/2012년

조정래 아리랑을 쓴 이유? [아리랑4 제2부 민족혼] (40)

 

 

조정래 아리랑을 쓴 이유? [아리랑4 제2부 민족혼] (40) 

 

안녕하세요? 저녁에 책을 읽다 잠이 들고 10시쯤 일어나 책을 다시 읽기 시작했는데 새벽 2시가 넘어서 아리랑 4권을 다 보게 되었습니다. ^-^

오늘은 아리랑4권 앞에 기록된 [작가의 말]을 공유하고 싶어요.

그 이유는 1.작가의 말에는 아리랑을 집필하게 된 이유가 잘 설명되어 있으며

2. 우리나라의 역사와 민족에 대해 깊게 생각하게 하더군요.

"아리랑을 이미 보신 분 or 아리랑을 앞으로 보실 분"

전자라면 아리랑을 다시 한번 기억하는 시간이 되겠고 후자라면 아리랑을 읽게 하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작가의 말 [출처 : 아리랑 4권 제2부 민족혼]

제2차 세계대전 동안 독일의 히틀러 정권에 의해 학살된 유대인들의 수가 얼마나 될까. 유대인들이 주장하기로는 3백만이라고도 하고 4백만이라고도 한다. 또 최근에 우리나라에서 상영된 영화 자막에서는 6백만이라고 하기도 한다.

그럼, 일본의 식민치하 36년 동안 일제의 총칼에 학살당하고 죽어간 우리 동포들의 수는 과연 얼마나 될까. 3백만일까? 4백만일까? 아니면 6백만일까? 그러나 불행하게도 우리는 그 어림숫자마저도 공개되어 있지 않고, 공식화되어 있지 않다.

나는 그 어림숫자를 3백만에서 4백만으로 잡고 있다. 그리고 작품 [아리랑]을 써나가면서 그 숫자를 구체적으로 밝히고자 하고 있다. 그 작업은 [아리랑]을 쓰는 여러 가지 목적 중의 하나이다.

우리 동포들도 일제의 총칼 앞에서 삼사백만 명이 죽어갔다는 사실을 전제로 나는 독자 여러분들과 전체 민족성원들에게 한 가지 질문을 하고자 한다.

"한 학급 60명이 손바닥 다섯 대씩을 맞아야 하는 단체기합을 받게 되었습니다. 그 60명 중에서 가장 아픈 사람은 누구이겠습니까?"

내가 그동안 몇몇 사람들에게 물어보니 대뜸 '1번!'이라는 답이었다. 그러나 그건 틀린 답이다. 정답은 '60번!'이다 왜냐하면 1번 학생은 제일 먼저 다섯 대를 맞고 나면 매의 공포로부터 완전히 해방되어 그 뒤의 학생들이 매를 맞는 동안 자유를 맘껏 누릴 수 있다. 그러나 60번 학생은 자기 앞의 학생들이 맞을 때마다 59번의 공포에 시달려야 한다. 이 답의 힌트는 흔한 우리의 속담 속에 있다.

'매도 먼저 맞는 놈이 낫다.'

유대인들은 단 3년 동안에 죽어간 것이고, 우리 동포들은 그 열 배가 넘는 세월인 36년에 걸쳐서 죽어갔다. 어느 민족이 더 괴롭고 고통스러웠겠는가?

유대인들보다 열 배가 넘는 공포에 시달리고 고통을 겪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어찌하여 아직까지도 우리 동포들이 얼마나 죽어갔는지를 어림숫자도 모르고 있는 것일까? 또 어찌하여 다른 민족인 유대인들의 비극은 마치 우리의 일인 것처럼 실감하고 분노하며 독일군들을 증오하면서도 정작 우리 자신들의 비극에 대해서 이야기 꺼내는 것은 역겨워하고 지겨워하고, 망각하려 하고 기피하려 하는가? 그 시대가 달라서 그러는가? 과연 그 시대는 다른가? 유대인 처녀들이 발가벗겨져 독가스 실에서 죽어갈 때 우리 민족의 처녀들도 동남아 일대 정글에서 정신대로 윤간당하며 죽어가고 있었던 똑같은 시대다.

그러면 우리는 어찌하여 그런 어리석은 군상들이 되었는가. 우리는 두 가지 집단최면을 당했던 것이다. 첫째는 자기네들의 수난을 전세계적으로 알리고자 수없이 소설을 쓰고 영화를 만들고 TV드라마를 만들었던 유대인들에게 우리는 최면당했다. 둘째는 해방과 함께 우리 사회 모든 부분을 장악했던 친일파들의 조직적인 음모로 일제시대는 망각이 최선이고, 일제시대 이야기를 꺼내는 것은 촌스럽고 모자라는 짓으로 매도되는 최면을 당한것이다.

유대인들은 그들의 수난을 극대화하며 자기네 민족의 자존을 확보하는 동시에 미래를 개척하는 민족의 동력으로 삼았다. 그런데 우리는 그들과 반대로 살아온 부끄러움을 저질렀다. 그러나 역사를 바르게 아는데는 시기의 빠르고 늦음이 없다. 민족은 영원하므로.

1994년 7월 조정래

 


위의 글을 보고 아리랑을 쓴 이유 정리해 보았습니다.

1. 소설을 통해  일제시대 희생된 동포의 숫자를 구체적으로 밝히려고.

나는 그 어림숫자를 3백만에서 4백만으로 잡고 있다. 그리고 작품 [아리랑]을 써나가면서 그 숫자를 구체적으로 밝히고자 하고 있다. 그 작업은 [아리랑]을 쓰는 여러 가지 목적 중의 하나이다.

2. 소설을 통해 우리나라가 일제시대에 겪은 고통의 심각성을 상기시키려고.

매 맞는 문제와 유대인들과 우리민족을 비교하여 첫째, 일제시대 우리 민족이 피해를 입은것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알고 둘째 자신들의 비극에 대하여 이야기 꺼내는 것에 기피하거나 망각하지않게 함이다.

3. 작가는 우리가 두 가지 집단 최면을 당했다는 사실을 알고 소설로써 그 최면에서 벗어나게 하려고 했다.

우리는 두 가지 집단최면을 당했던 것이다. 첫째는 자기네들의 수난을 전세계적으로 알리고자 수없이 소설을 쓰고 영화를 만들고 TV드라마를 만들었던 유대인들에게 우리는 최면당했다. 둘째는 해방과 함께 우리 사회 모든 부분을 장악했던 친일파들의 조직적인 음모로 일제시대는 망각이 최선이고, 일제시대 이야기를 꺼내는 것은 촌스럽고 모자라는 짓으로 매도되는 최면을 당한것이다.

4. 작가는 독자들이 우리민족의 수난을 제대로 알고 과거를 통해 자존을 확보하고 미래를 개척하게 하려는 궁국적 목적을 가지고 글을 썻다.

유대인들은 그들의 수난을 극대화하며 자기네 민족의 자존을 확보하는 동시에 미래를 개척하는 민족의 동력으로 삼았다. 그런데 우리는 그들과 반대로 살아온 부끄러움을 저질렀다. 그러나 역사를 바르게 아는데는 시기의 빠르고 늦음이 없다. 민족은 영원하므로.


이렇게 조정래 작가가 왜 아리랑을 쓰게 되었는지에 대하여 아리랑책 4권에 있는 [작가의 말]을 통해 생각해 보았습니다.

소설을 읽으면서 화도 많이나고 답답했었는데 작가의 말을 다시 곱 씹어보니 우리 역사에 대하여 올바르게 알아야겠다는 생각이 절실히 듭니다.

"역사는 바르게 아는데는 시기의 빠르고 늦음이 없다. 민족은 영원하므로."란 말이 심장을 울리는것 같습니다.

"나라사랑" 입으로만 하고 있지 않나요?

"나라사랑" 앞으로 머리와 마음 그리고 실천으로 이뤄야 합니다.


아리랑 4

저자
조정래 지음
출판사
해냄출판사 | 2007-01-30 출간
카테고리
소설
책소개
1980년대 이후 고전으로 널리 읽히는 조정래의 대하소설 3부작...
가격비교

조정래 작가의 [작가의 말]을 더 많은 분들에게 알리기 위해

아래 다음뷰 추천 버튼 and 믹시 추천버튼을

꾸우욱~! 눌러주세요!

꼬오옥~! 이요!